재테크/Stock Basic

기본기_매수 방법 3가지

빈그릇 2020. 10. 15. 01:05
반응형

매수법이라는게 필요한가? 그냥 사고 싶으면 지르면 되는걸? 맞다 그냥 그렇게 하면 된다. 사람은 맞아봐야 아픈지 안다.

그럼 아프지 않은 매수, 매도방법이 있는가? 그렇다 누구나 알고 있고 훈련없이는 지키기 힘든 방법.


 

저걸 왜 못해? 할 수 있지만 투자금이 작을수록 분할매수가 힘들다. 투자금보다 욕심의 크기 때문이며, 흔히말하는 뇌동매매 때문이다.

수업료를 내본 사람만이 공감할 지어다. 그러면 분할매수를 어떻게 하는데? 3가지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1. 불타기(피라미딩 매수)

매수 후 상승시 평균단가를 높이면서 추가로 매수한다. 조정구간에서 수익금을 담보로 추가매수 하여 수익을 극대화 한다.

중요한 것은 종목이 지속적 상승에 확신있고, 지속적인 매수세를 체크해야한다. 1차매수 구간이 아닌 이상 손실구간에 이전에 판다면, 손해보지 않는 매수 법이다. 

 

 

 

2. 물타기(마틴게일 매수)

매수 후 하락시 평균단가를 낮추면서 추가로 매수한다. 하락 후 반등의 시점에서 추가매수, 평균단가를 낮추어 빠른 수익구간을 노린다.

물타기는 영원히 오르지 않아 영원히 매장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올해 코로나쇼크는 섬뜩한 경험을 안겨주었다.

 

 

 

3. 매집(에버리징 매수)

일정금액을 일정가격대에서 적금처럼 따박따박 매수한다. 주가가 오랫동안 박스권에 갇힌 종목들에게 활용 되는데, 이들은 때를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때를 주주들도 같이 기다리면서 주식을 매수해 간다. 그때가 언제냐? 기업 사장이 아빠면 알 수 있다. 기업분석은 기본이고 산업분석, 시장상황도 체크하고 소신과 인내를 가지고 기다리는 것이 중요하다.

 

19년 영웅이된 KMW 다시 보니 엄청났었다.

 

 

매수방법은 아무리 생각해도 3가지가 끝이다. 방법을 알았다면 매수를 타이밍을 알아야는데, 타이밍을 알기 위해 자연스럽게 차트공부와 수급공부를 하게 된다. 공부가 끝나면 스타크래프트 전략마냥 고민에 고민을 통해 매수를 하기때문에 매수는 기술이 된다.

 

근런데 이바닥에서 난다긴다 하는 사람들도 타이밍 맞추기가 매우 어렵다. 대충 '이쯤이다.' 생각하고 분할매수 시작하는 것일 뿐.


추가적으로 매수 비율이 있는데, 이것도 취향이다.

 

불타기 - 1 : 1 : 1 : 1

물타기 - 1 : 3 : 8 : 손절
매집 - 여윳돈 생기는대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