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체 절단 시 응급처치 방법
- 절단 부위 응급처치는 과다출혈을 예방하기 위해 심장보다 높게 든다.
- 압박붕대로 지혈하거나 압박붕대가 없는 경우 지혈이 가능한 깨끗한 천으로 지혈한다. (압박 시간이 오래 지나면 오히려 정상 부위도 피가 통하지 않게 되어 괴사 될 수 있고 수술의 실패 요인이 될 수 있음)
- 절단 부위는 식염수 또는 깨끗한 물로 씻어내거나 깨끗한 천, 손수건으로 감싼 뒤 지퍼락 같은 봉투에 밀봉한다. (절단된 부분을 직접 물이나 액체에 담그면 절단된 조직에 해가 될 수 있음)
- 비닐봉지에 얼음을 채우고 얼음을 채운 후 밀봉한 절단 부위를 넣는다. (절단된 부위가 얼음물에 직접 닿지 않도록 유의하고 세척이 힘든 상황이라면 그대로 병원에 가지고 가는 것이 좋음)
- 응급처치를 한 뒤 사고현장에서 가장 가까운 수지접합 전문병원으로 바로 가야 수술 결과가 좋아진다. 국내에 보건복지부에서 지정한 수지접합 전문병원은 전국에 4곳이다
부산 : 부산센텀병원(부산 수영구 수영로 677 부산센텀병원)
인천 : 성민병원(인천 서구 신석로 70 성민병원)
부천 : 예손병원(경기 부천시 부천로 206)
대구 : W병원(대구 달서구 달구벌대로 1632)
청주 : 마이크로병원(2021년 추가됨)
찾아보니 절단사고는 정형외과, 피부조직의 경우는 성형외과에서 치료가 가능하지만, 절단 접합 자체가 고난도 수술이기 때문에 전문병원에 가는 것을 추천하고 있다. 무엇보다 빠르게 응급실로 향하여 전문가에게 응급처치를 받고 상태에 따라서 수술가능 병원으로 이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골든타임 : 신체가 절단된 경우 6시간 이내에 병원에 도착해야 80~90% 미세접합 수술의 성공률을 보인다.
#. 사고를 대처하는 자세
오늘 새로운 채칼이 왔는데, 직원이 잘 썰린다며 신나게 사용하다가 엄지손가락을 같이 썰어버렸다. 상처 부위를 본 순간 온몸에 신경이 곤두섰고 일단 지압을 지시하고 병원을 가야 한다는 생각뿐이었다. 하지만 어디를 가야 할지 몰라 짧게 검색을 해보니 정형외과라는 말에 매장 200m 근방에 정형외과로 향했다. 하지만 병원은 점심시간이라고 아무도 없었고, 이럴게 아니라 빨리 응급실로 가야 한다는 생각에 차를 타고 출발했다.
처음 격는 일이라 머릿속이 급하고, 복잡하고, 혼란스러웠다. 하지만 응급실에서는 뭐 이런 걸로 호들갑이야? 라는 느낌으로 응대를 해주었는데 이게 뭐랄까 기분 나쁜 게 아니라 '아, 다행이다. 엄청 큰일이 아니구나.' 라는 안정감을 주었다. 매우 시크하게 소독하고, 사고시간, 절단 부위 여부, 알레르기, 복용약물 등등을 물어본 후 병원 내 정형외과 의사에게 보내졌다. 채칼에 살점이 도려내진 사고였고 썰린 살점이 본능적으로 필요할것 같다는 생각에 냅킨에 둘둘 말아 들고 왔는데 이게 정말 다행이었다.
의사는 접합수술을 해야 한다 했고, 접합 후 일주일간 상태를 지켜보며 접합부가 괴사하면 도려내고 다른 신체부위에서 새롭게 이식수술을 해야 한다고 했다. 이 말을 들을 때는 이건 작은 일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부디 괴사 하지 않기를 바란다.
병원에 입원시키고 필요물품들을 구비해주고나서 병원을 나섰다. 나서는 길에 산재보험을 신청해야 할 것 같아 기웃기웃 거려 보니 해당병원에 산재보험 신청 창구가 따로 있었다. 신청은 간단했다. 요양급여신청서를 작성하고 제출 > 공단에서 심사 후 보상지급인데 기간은 신청 후 10일정도 걸린다고 하고, 치료비 및 기타 결제들은 사고 당사자가 결제를 해야 한다고 했다. 업장에서 대신해 주면 복잡해진다는 말도 해줬다. 이부분은 추 후 자세히 알아보겠다.
퇴근 후 다음에 비슷한 일이 발생하면 어떻게 해야 할지 정보들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복기를 해본 결과 지혈이 잘되지 못해 출혈이 과다했고 무조건 응급실로 향해야 했다. 절단 부위는 상태를 온전하게 보전시켜 가져가는 게 핵심이었다. 이제 25살 여자애인데 손에 흉터가 남을 것을 생각하니 마음이 더 아프다.
'자영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영업_직원들 급여계산이 어떻게 되는지 아시나요? (0) | 2023.03.11 |
---|---|
자영업_노무사가 필요한가? 어떤 도움을 받는가? (0) | 2023.02.21 |
자영업_하는 일이 익숙해지면 사장님 아우라가 나온다. (0) | 2023.01.10 |
자영업_일당백직원은 득인가 실인가? (0) | 2022.08.10 |
자영업_블루리본서베이 고마워요. 같이 잘해봐요. (0) | 2022.08.09 |